💨들어가기 전에.. 자료를 찾아보면서 공부한 내용을 기록합니다. 잘못된 표현이나 개념이 있을 수 있으니 따끔하게 지적해주시면 감사히 받아들이겠습니다.🥰 Android 구조와 동작 원리 2편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2편에서는 Android의 4대 구성요소로 불리는 요소들의 개념과 특징, 빌드 과정에 대해서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Android 구성 요소(컴포넌트) Android의 앱(Application)은 4대 구성요소를 통합 관리하는 번들의 개념입니다. 그 구성요소로는 Activity, Service, Broadcast Receiver, Content Provider가 있습니다. 그럼, Android의 구성요소를 쭉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Activity 사용자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진입점입니다. UI를 ..
💨들어가기 전에.. 자료를 찾아보면서 공부한 내용을 기록합니다. 잘못된 표현이나 개념이 있을 수 있으니 따끔하게 지적해주시면 감사히 받아들이겠습니다.🥰 앱개발을 하면서 Android가 어떤 구조로 생겨먹었는지 자세히 알지 못했고, 앱이 만들어지고 동작하는 과정에 대한 지식없이 막연하게 개발을 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어, 이참에 Android에 대해 기초부터 차근차근 공부하면서 내용을 정리하여 포스팅해볼까합니다. 우선, Android 플랫폼의 구조와 동작 원리에 대해서 가볍게 알아보면서 시작해보겠습니다 😛 Android의 구조 먼저, Android의 내부 구조는 이렇게 생겼다고 합니다. Android OS가 Linux를 기반으로 한다는 것은 얼핏 들어 알고 있는 사실이었는데, 그 위에 다른 레이어가 얹어지면..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도중, C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활용해야 하는 이슈가 발생했다. 구글링을 해보니 JNI를 사용하면 자바 언어에서 C나 C++ 소스 파일을 가져와 사용할 수 있다고 하길래 테스트를 해보면서 포스팅을 올리게 되었다. NDK, JNI란? NDK (Native Development Kit)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하는 ndk는 C, C++ 로 구성된 네이티브 코드로 앱의 일부를 구현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이다. JNI (Java Native Interface) 자바와 네이티브 언어를 연결해주는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안드로이드의 NDK를 이용해서 JNI를 구현하게 될 것이다. 개발환경 C/ C++ 소스 코드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자마자 지레 겁을 먹었다. 나는 아직까지 unmanged 언어..